Vitamin D와 알러지 질환
Transcription
Vitamin D와 알러지 질환
J Rhinol 21(2), 2014 www.ksrhino.or.kr Vitamin D와 알러지 질환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이비인후과학교실 조재훈 Vitamin D and Allergic Disease Jae Hoon Cho, MD, PhD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College of Medicine,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ABSTRACT Recently, the role of vitamin D in immunomodulation has been studied and shown to b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mmune function. A causal relationship exists between vitamin D and innate and adaptive immunity to infections. Recent findings on the function of vitamin D may explain aspects of the pathophysiology of various allergic diseases including allergic rhinitis, asthma, and even chronic rhinosinusitis. KEY WORDS : Vitamin DㆍAllergic Rhinitis. 서 론 빛을 받아 생성되는데, 피부의 7-dehydrocholesterol이 자외선B를 흡수하여 cholecalciferol로 변형되는 것이다. Vitamin D는 오래 전부터 인간에게 필수적인 영양소 Calcidiol(25-hydroxyvitamin D)은 혈중 호르몬 전구체 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칼슘과 인산의 흡수에 중요한 역 로 cholecalciferol로부터 생성되며, vitamin D의 농도를 할을 한다. 실제로 vitamin D는 호르몬과 유사한데, 1969 측정할 때 사용된다. Calcitriol(1,25-hydroxyvitamin 년에 vitamin D receptor가 발견되었고, 현재 vitamin D endocrine system 이라고 불린다.1) 신장, 뼈, 부갑상 선, 장을 동시에 조절하여 세포외 칼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이는 세포의 생리작용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다.2) 최근에는 vitamin D가 세포의 분화 및 성장 억제, 면역조절, 호르몬조절 등 광범위한 역할을 한 다고 밝혀졌다.2) 본 review에서는 최근 vitamin D와 알 레르기 비염 및 만성부비동염의 관계에 대해 진행된 연구 를 살펴보고자 한다. Vitamin D의 생리 Vitamin D는 cholecalciferol, calcidiol, calcitriol의 3 가지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Cholecalciferol은 자연적으 로 생성되는 vitamin D이다. 음식에서 섭취하거나, 햇 논문접수일 : 2014년 8월 5일 / 심사완료일 : 2014년 11월 18일 교신저자 : 조재훈 부교수 서울특별시 광진구 능동로 120-1 건국대학교 병원 이비인후과 (143-729) 전 화 : (02) 2030-7667 · 전 송 : (02) 2030-5299 E-mail : jaehoon@kuh.ac.kr Fig. 1. Vitamin D 생성. 7-dehydrocholesterol은 햇빛을 받아 피부에 서 생성되거나 음식으로 섭취하게 된다. 이후 간에서 25-hydroxyvitamin D로 전환되며, 이는 다시 신장에서 1,25-hydroxyvitamin D로 전환되며 활성화 상태가 된다. - 92 - 93 / J Rhinol 21(2), 2014 D)은 calcidiol로 부터 신장이나 간 등에서 만들어지며, 세포도 조절하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Th1 과 Th2 세포가 vitamin D중 가장 강력하다. 하지만, calcitriol의 혈중 calcitriol의 직접적인 조절을 받는다.8) CD4+T 세포가 활 농도는 vitamin D의 체내 저장량과 일치하지 않는다. 성화되면 VDR이 x5 증가하며, calcitriol은 적어도 102개 Calcitriol은 장에서 칼슘과 인산의 흡수를 촉진하고, 뼈 의 gene 발현을 조절한다.9) Calcitriol은 Th1 세포의 증식 의 mineralization을 증가시킨다.3) 모든 과정은 Fig 1.에 을 감소시키고, IFNγ, IL-2, IL-5의 생성을 막는다. 반 정리하였다. 면 Th2 세포에서는 IL-4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Vitamin D는 Th1 반응을 억제하고 Th2 반응을 유도하는 듯 하 Vitamin D와 면역조절 다.10-11) Calcitriol은 수지상세포(dendritic cell)의 분화를 Vitamin D는 면역조절자로서 점차 많은 관심을 받고 막아 비성숙상태에 머물도록 하는데, 이는 T 세포 관용을 있다. Vitamin D receptor(VDR)를 통해 인간에서 유일 촉진하게 된다. 또한, IL-12를 감소시키고 IL-10은 증가 한 antimicrobial peptide인 cathelicidin을 생성하는데, 시켜, Th1에서 Th2 shift를 유발한다.4) 4) 이는 그람 양성균 및 음성균, 일부 바이러스 및 진균 등에 Vitamin D와 천식, 알레르기 비염 대해 광범위한 항균작용을 가진다.5) 실제 폐혈증에 걸린 환자들의 vitamin D 혈중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Vitamin D와 천식에 관련되어서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 낮았으며, vitamin D의 농도와 cathelicidin 농도는 비례 었는데, 알레르기 비염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진행된 연 하였다.6-7) Vitamin D는 T 림프구, B 림프구, 항원제시 구가 적다(Table 1). 흑인 젊은이들을 대상으로 한 Fre- Table 1. 성인 알레르기 비염 환자의 혈중 vitamin D level에 관한 연구들 제1저자 발표연도 국가 대상자수 주요 발견 Wjst13 2007 미국 18,224 vitamin D level이 증가할수록 알레르기 비염의 발생이 증가했다. 이러한 특징은 특히 흑인에 비해 젋은 백인에 두드러졌다. Arshi16 2012 이란 5,379 알레르기 비염군에서 vitamin D deficiency의 비율(30%)이 정상군(5.1%)에 비해 높았다. Jung15 2013 한국 8,012 알레르기 비염군의 혈중 vitamin D level이 정상군에 비해 낮았고, 낮은 vitamin D level은 알레르기 비염의 발생을 증가시키는 위험인자였다. Cheng14 2014 한국 15,212 vitamin D level은 아토피 피부염 환자에서는 정상군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천식과 알레르기 비염 환자에서는 정상군과 차이가 없었다. Mai17 2014 노르웨이 1,351 남성에서는 vitamin D가 감소한 경우 알레르기 비염의 발생이 증가하였으나, 여성에서는 오히려 감소되었다. Table 2. 소아 알레르기 비염 발생과 vitamin D의 관련성에 관련된 연구들 제1저자 발표연도 국가 대상수(명) 주요 발견 Hyppnen19 2004 핀란드 5,007 1세 미만의 소아에게 vitamin D를 먹이면, 31세에 알레르기 비염과 천식의 발생이 증가한다. Erkkola18 2009 핀란드 1,669 임신 중 산모가 vitamin D를 섭취하면, 태아가 5세때 알레르기 비염과 천식의 발생이 줄어든다. Rothers21 2011 미국 219 태아의 cord blood내 vitamin D level이 너무 높거나 낮으면 5세 때까지 total IgE 와 호흡기 항원에 특이적인 IgE level이 높았다. 하지만, 알레르기 비염이나 천식의 발생과는 관련이 없었다. San22 2013 터키 60 잦은 편도염과 알레르기 비염이 있는 소아의 혈중 vitamin D level이 대조군에 비해 낮았다. Kemp23 2013 호주 415 햇볕에 많이 노출된 청소년(8-16세)들은 그렇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호흡기 항원에 대한 감작비율은 비슷했으나, eczema나 비염의 발생은 감소하였다. Maslova24 2014 덴마크 1,497 임신중기 모친의 vitamin D level이 너무 높거나 낮으면, 18개월과 7세에 태아의 천식발생이 증가할 수 있다. 하지만 알레르기 비염의 발생과는 별다른 관련이 없었다. Chawes25 2014 덴마크 411 태아의 cord blood내 vitamin D level이 낮으면, 7세 미만에서 troublesome lung symptoms 발생이 증가하지만, 비염의 발생은 증가하지 않았다. 조재훈 : Vitamin D와 알러지 / 94 ishtat 등의 연구에서 vitamin D의 부족이 천식의 발생과 시킨 연구라 명확한 결론을 내리기에는 한계가 있다. 최 연관되었다고 보고하였으며, 근에는 vitamin D과 fibroblast의 증식을 막는다는 연구 12) Wjst 등도 혈중 vitamin D level이 알러지의 발생과 연관된다고 발표하였는데,13) 결과도 있었다.27) 이들은 알레르기 비염의 발생이 vitamin D level이 증가 할 수록 증가한다고 하였다. 하지만 이후에 Cheng 등은 결 론 알레르기 비염과 vitamin D level이 연관 없다고 하였 고,14) Jung, Arshi 등은 오히려 vitamin D level이 감소 하면 알레르기 비염이 증가한다고 하였다. Vitamin D와 천식에 관해서는 비교적 많은 연구가 발 Mai 등은 표되었으나, 알레르기 비염 및 만성부비동염과의 연관성 남녀에서 다른 결과를 보고하였는데, 남자는 vitamin D 에 대해서는 상반된 결과들이 있어 뚜렷한 연관성을 밝히 level이 감소할수록 알레르기 비염의 발생이 증가하였으 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겠다. 15-16) 나, 여자에서는 오히려 감소한다고 하였다.17) 또 다른 연 구들에서는 소아 알레르기 비염의 발생과 임신 중 산모의 vitamin D level, 유아기 vitamin D 투여 등의 연관성을 보았는데(Table 2), 임신 중 엄마가 vitamin D를 많이 섭 취하면, 자녀의 알러지 발생 가능성이 낮아진다고 하였 다.18) 하지만, 다른 연구에서는 유아기에 vitamin D를 섭 중심 단어 : Vitamin DㆍAllergic RhinitisㆍSinusitis. 저자역할(Author Contributions) 조재훈은 본 연구에서 모든 자료에 접근할 수 있으며, 자료의 완전성 과 자료 분석의 정확성에 책임을 지고 있습니다. 연구 기획 : 조재훈. 자료 해석 및 분석 : 조재훈. 논문 초안 : 조재훈. 연구 총괄 : 조재훈. 취시키면, 31살 무렵에는 알러지 발생이 증가한다는 결과 를 발표하였고,19) 18세 미만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다른 연구에서는 알러지 환자들은 vitamin D의 불충분 혹은 부족을 보이는 비율이 47%, 17%로 높았고 스테로이드 사 용량도 많았다.20) 이러한 상반된 결과들에 대해서는 앞으 로 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18-25) Vitamin D와 만성부비동염 아직 vitamin D와 만성부비동염의 관계에 대해 밝혀 진 연구는 많지 않다(Table 3). 일부 연구에서 만성부비동 염 환자에서 vitamin D level이 적다는 결과를 발표하였 지만,26) 환자수가 적고 심함 만성부비동염 환자만을 포함 REFREENCES 1)Norman A. From vitamin D to hormone D: fundamentals of the vitamin D endocrine system essential for good health. Am J Clin Nutr 2008; 88:491S–499S. 2)Dusso A, Brown A, Slatopolsky E. Vitamin D. Renal, fluid and electrolyte physiology. Am J Physiol 2005; 289:F8–F28. 3)Gallieni M, Cozzolino M, Fallabrino G, et al. Vitamin D: physiology and pathophysiology. Int J Artif Organs 2009; 32:87–94. 4)Kamen D, Tangpricha V. Vitamin D and molecular actions on the immune system: modulation of innate and autoimmunity. J Mol Med 2010; 88:441–450 5)Dimeloe S, Nanzer A, Ryanna K, Hawrylowicz C. Regulatory T cells, inflammation and the allergic response: the role of glu- Table 3. 부비동염과 vitamin D의 관련성에 관련된 연구들 제1저자 발표연도 국가 대상수(명) 주요 발견 Pinto26 2008 미국 154 흑인들에서 만성 부비동염이 있는 경우 정상인에 비해 vitamin D level이 낮았다. RostkowskaNadolska27 2009 폴란드 해당 없음 vitamin D가 nasal polyp fibroblast의 증식을 억제하였다. Mulligan28 2011 미국 57 비용을 동반한 만성 부비동염 환자에서 vitamin D level은 혈중 dendritic cell 수와 골파괴 정도와 반비례하였다. . Mulligan29 2012 미국 50 vitamin D가 부족한 경우 비용을 동반한 만성 부비동염 환아에서 부비동 점막의 dendritic cell 수가 증가하였다. Sultan30 2013 미국 해당 없음 부비동 상피세포에서 활성화 vitamin D가 생성되어 innate immune 기능을 향상시킨다. Wang31 2013 대만 45 비용을 동반한 만성 부비동염 환자에서 비용이 없는 만성 부비동염 환자보다 혈중 vitamin D level이 낮았고, 비용의 grade는 vitamin D level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Schlosser32 2014 대만 60 비용을 동반한 만성 부비동염 환자의 55%에서 vitamin D 부족이 관찰되었고, vitamin D level이 낮을수록 CT에서 병변이 심하였다. 95 / J Rhinol 21(2), 2014 cocorticoids and vitamin D. J Steroid Biochem Mol Biol 2010; 120:86–95. 6)Jeng L, Yamshchikov AV, Judd SE, et al. Alterations in vitamin D status and antimicrobial peptide levels in patients in the intensive care unit with sepsis. J Transl Med 2009; 7:28. 7)Deluca HF, Cantorna MT. Vitamin D: its role and uses in immunology. FASEB J. 2001; 15:2579–2585. 8)Mahon B, Wittke A, Weaver V, Cantorna M. The targets of vitamin D depend on the differentiation and activation status of CD4 positive T cells. J Cell Biochem 2003; 89:922–932. 9)Penna G, Roncari A, Amuchastegui S, et al. Expression of the inhibitory receptor ILT3 on dendritic cells is dispensable for induction of CD4þFoxp3þ regulatory T cells by 1,25-dihydroxyvitamin D3. Blood 2005; 106:3490–3497. 10)Cantorna M, Zhu Y, Froicu M, Wittke A. Vitamin D status, 1,25dihydroxyvitamin D3, and the immune system. Am J Clin Nutr 2004; 80 (6 Suppl): S1717–S1720. 11)Wolff AE, Jones AN, Hansen KE. Vitamin D and musculoskeletal health. Nat. Clin Pract Rheumatol 2008; 4:580–588. 12)Freishtat R, Iqbal S, Pillai D, et al. High prevalence of vitamin D deficiency among inner-city African American youth with asthma in Washington, DC. J Pediatr 2010; 156:948–952. 13)Wjst M, Hyppnen E. Vitamin D serum levels and allergic rhinitis. Allergy 2007; 62:1085–1086. 14)Cheng HM, Kim S, Park GH, et al. Low vitamin D levels are associated with atopic dermatitis, but not allergic rhinitis, asthma, or IgE sensitization, in the adult Korean population. J Allergy Clin Immunol. 2014 Apr;133(4):1048-55. 15)Jung JW, Kim JY, Cho SH, Choi BW, Min KU, Kang HR. Allergic rhinitis and serum 25-hydroxyvitamin D level in Korean adults. Ann Allergy Asthma Immunol. 2013 Nov;111(5):352-7. 16)Arshi S, Ghalehbaghi B, Kamrava SK, Aminlou M. Vitamin D serum levels in allergic rhinitis: any difference from normal population? Asia Pac Allergy. 2012 Jan;2(1):45-8 17)Mai XM, Chen Y, Camargo CA Jr, Langhammer A. Serum 25hydroxyvitamin D levels and self-reported allergic rhinitis in Norwegian adults - The HUNT Study. Allergy 2014;69(4):48893. 18)Erkkola M, Kaila M, Nwaru BI, et al. Maternal vitamin D intake during pregnancy is inversely associated with asthma and allergic rhinitis in 5-year-old children. Clin Experiment Allergy 2009; 39:875–882. 19)Hyppnen E, Sovio U, Wjst M, et al. Infant vitamin D supplementation and allergic conditions in adulthood: northern Finland birth cohort. Ann N Y Acad Sci 2004; 1037:84–95. 20)Searing D, Zhang Y, Murphy J, et al. Decreased serum vitamin D levels in children with asthma are associated with increased cor- ticosteroid use. J Allergy Clin Immunol 2010; 125:995–1000. 21)Rothers J, Wright AL, Stern DA, Halonen M, Camargo CA Jr. Cord blood 25-hydroxyvitamin D levels are associated with aeroallergen sensitization in children from Tucson, Arizona. J Allergy Clin Immunol 2011;128(5):1093-9. 22)San T, Muluk NB, Cingi C. 1,25(OH)₂D₃ and specific IgE levels in children with recurrent tonsillitis, and allergic rhinitis. Int J Pediatr Otorhinolaryngol 2013;77(9):1506-11. 23)Kemp AS, Ponsonby AL, Pezic A, Cochrane JA, Dwyer T, Jones G. The influence of sun exposure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on atopic disease at adolescence. Pediatr Allergy Immunol 2013;24(5):493-500. 24)Maslova E, Hansen S, Thorne-Lyman AL, et al. Predicted vitamin D status in mid-pregnancy and child allergic disease Pediatr Allergy Immunol. In press. 25)Chawes BL, Bønnelykke K, Jensen PF, Schoos AM, Heickendorff L, Bisgaard H. Cord blood 25(OH)-vitamin D deficiency and childhood asthma, allergy and eczema: the COPSAC2000 birth cohort study. PLoS One 2014;12;9(6):e99856. 26)Pinto J, Schneider J, Perez R, et al. Serum 25-hydroxyvitamin D levels are lower in urban African American subjects with chronic rhinosinusitis. J Allergy Clin Immunol 2008; 122:415–417. 27)Rostkowska-Nadolska B, Fraczek M, Gawron W, Latocha M. Influence of vitamin D(3) analogues in combination with budesonide R on proliferation of nasal polyp fibroblasts. Acta Biochim Pol 2009; 56:235–242. 28)Mulligan JK, Bleier BS, O'Connell B, Mulligan RM, Wagner C, Schlosser RJ. Vitamin D3 correlates inversely with systemic dendritic cell numbers and bone erosion in chronic rhinosinusitis with nasal polyps and allergic fungal rhinosinusitis. Clin Exp Immunol 2011;164(3):312-20. 29)Mulligan JK, White DR, Wang EW, et al. Vitamin D3 deficiency increases sinus mucosa dendritic cells in pediatric chronic rhinosinusitis with nasal polyps.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12;147(4):773-81. 30)Sultan B, Ramanathan M Jr, Lee J, May L, Lane AP. Sinonasal epithelial cells synthesize active vitamin D, augmenting host innate immune function. Int Forum Allergy Rhinol. 2013;3(1):2630. 31)Wang LF, Lee CH, Chien CY, Chen JY, Chiang FY, Tai CF. Serum 25-hydroxyvitamin D levels are lower in chronic rhinosinusitis with nasal polyposis and are correlated with disease severity in Taiwanese patients. Am J Rhinol Allergy 2013;27(6):e162-5. 32)Schlosser RJ, Soler ZM, Schmedes GW, Storck K, Mulligan JK. Impact of vitamin D deficiency upon clinical presentation in nasal polyposis. Int Forum Allergy Rhinol 2014;4(3):196-9.